사회적 목적과 경제적 목적을 동시에 추구하는 조직으로 설립 목적과 근거에따라 사회적기업, 사회적협동조합, 마을기업, 자활기업 등의 형태를 띱니다.지속가능한 일자리 제공 · 사회서비스 제공 · 지역사회 활성화 등사회적 목적 실현을 위해 영리활동을 하는 조직입니다.
- 권역 내 사회적경제기업의 유통을 지원하기 위한 조직
- 공공기관과 사회적경제기업을 연계하여 사회적경제기업의 공공시장 진출을 통한 안정적 판매처 확보와자립기반을 조성
- 사회적경제조직의 안정적 사업수행을 도와 일자리 창출, 사회서비스 확충 등 사회적가치 창출하는 것이 주 목적
- 공공기관 구매 업무를 지원하여 업무 효율성 향상 및 비용 절약의 효과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 또는 일자리를제공하거나 지역사회에
공헌함으로써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등의 사회적목적을
추구하면서 재화 및 서비스의 생산·판매 등영업활동을 하는 기업을
말합니다. 「사회적기업 육성법」 제2조를설립 근거로 하고 있습니다.
지역주민들의 권익·복리 증진과관련된 사업을 수행하거나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 또는 일자리를 제공하는 등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협동조합을 뜻합니다. 「협동조합육성법」 제2조 제3호를설립 근거로 하고있습니다.
지역주민이 각종 지역자원을 활용한 수익사업을 통해 공동의지역 문제를 해결하고, 소독 및 일자리를 창출하여 지역공동체 이익을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설립운영하는 마을단위의기업입니다.
행정안전부의 ‘2019년마을기업 육성사업 시행지침’을 근거로 하고있습니다.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라 저소득실업자의 경제적 자활(자립)과
일자리창출을 목표로 생산활동을 하는 기업입니다. 광역자활기업과 전국자활기업으로나뉘는데 광역자활기업은 지역 단위의자활사업 추진을
목적으로광역자치 단체에서 인정한 곳이며,전국자활기업은 전국 단위
자활사업 추진을목적으로 보건복지부에서 인정한 곳입니다.
- 공공구매 플랫폼 운영
- 공공기관에 구매 시스템을 제공하여 업무 효율성 증진
- 공공구매 플랫폼 활성화를 통한 사회적경제기업 판로개척
- 구매데이터를 통한 수요파악으로 전략적인 품목 확대
- 플랫폼을 통한 비대면 온라인 전자계약 시스템 도입
- 번거로운 계약절차를 간소화하여 사회적경제기업에게 공공시장
진출기회 부여
- 계약절차 간소화, 구매실적 및 전자 문서 관리를 통한 공공기관 업무
효율 증진
- 공공기관 임직원 전용몰을 제공(예정)
- 사회적경제기업의 직접생산 제품 구성
- 지역화폐, 복지포인트 등 다양한 결제방법 도입(예정)
- 원자재 공동구매, 공동설비확보를 통한 비용감소
- 사회적경제 공동브랜드 런칭을 통한 인식개선 및 신뢰도 향상
- 사회적경제 PB제품 기획
- 플랫폼을 통한 규모화 및 홍보기회 제공
- 사회적경제의 지속 가능한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
-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 및 사회서비스 확대
- 공정한 수익분배
- 지역경제 활성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