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구매제도 개요

ㆍ우선구매제도 개요

 우선구매제도는 정부재정을 활용하여 국가적인 차원에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중소기업, 기술개발(R&D), 친환경/저탄소 녹색성장, 사회경제적 배려대상           기업,  단체 등이 생산 또는 공급하는 물품, 용역, 시설공사 등을 공공조달 과정에서 우선적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활동을 통칭

‌● 정책적 지원을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직접적 보조금이나 지원금을 지원하는 형식이 아닌 생산 및 공급 가능한 상품을 공공기관(수요기관)이 구매함으로써
‌    간접적으로 지원한다는 것이 큰 특징임

‌   - 직접적 지원은 일회성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지만 공공부문의 수요기관이 지속적으로 구매하는 상품을 우선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정책지원 대상이
‌      여성, 중증장애인, 사회적 약자들의 고용을 활성화 할 수 있음

‌   - 이를 통해 정책지원 대상 기업 및 단체들이 생산한 제품에 적정 대가를 보장하여 구매함으로써 발생한 수익을  재투자하거나 지역사회에  환원함으로써
‌     자생적으로 지속 가능한 고용 및 성장구조를 도출할 수 있는 정책적 이점이 있음

‌● 현재 정부에서는 공공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의 기관평가 시 "정책지원" 평가분야의 평가항목으로 채택하여 법정 구매목표비율 충족 수준 등을 관리하는
     8가지의 우선구매제도가 존재함